발랄한 스페인어2014. 3. 30. 10:18

안녕하세요~ 올라쌤입니다.

스페인어 공부, 어렵지 않죠~ 올라쌤과 함께라면 쉽게쉽게 정복할 수 있습니다.


< 스페인어의 인칭대명사 >

인칭

(~///)

인칭

소유(~)

간접목적

(~에게/한테)

직접목적

(~/)

전치목적

재귀

단수

복수

후치/대명

단수

yo

mi

mis

mío, a

me

me

me

tu

tus

tuyo,a

te

te

ti

te

ud./

usted

당신

su

sus

suyo,a

le

lo

ud.

se

él

그것(남성형)

él

ello

그것(중성형)

ello

ella

그녀그것(여성형)

la

ella

복수

nosotros

우리

nuestro

nuestras

nuestros

nuestras

nuestro,a

nos

nos

nosotros

nos

vosotros

너희들

vuestro

vuestros

vuestros

vuestras

vuestro,a

vos

vos

vosotros

vos

uds./

ustedes

당신들/너희들(중남미)

su

sus

suyo,a

les

los

uds.

se

ellos

그 남자들그들,그것들(중성형/남성형)

ellos

ellas

그 여자들그것들(여성형)

las

ellas


- 스페인어에서는 우리나라 말에 해당되는 10개의 인칭(나, 너, 그, 그녀, 그것, 우리, 너희, 당신들, 그들, 그녀들)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각 인칭에 따른 동사변화의 형태는 6개 뿐입니다.


- 단수는 1명 또는 1개일 때, 복수는 2명 또는 2개 이상일 때를 뜻 합니다.


- vosotros는 스페인에서만 쓰이는 표현으로, 중남미에서는 Uds.가 너희들, 당신들을 동시에 의미합니다. 


- 중남미에서 친한 친구인 사이에는 Vos의 형태를 tú를 대신하여 사용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것은 격없는 친구사이에만 사용할 수 있는 상당히 격식 없는 표현입니다.


- 주격은 우리나라의 ‘~은/는/이/가’에 해당되는 형태입니다. 


- 소유격은 한국어의 ‘~의’에 해당되는 형태로, 누구의 소유인가를 밝혀줍니다.


- 간접목적은 한국어의 ‘~에/에게’에 해당되는 형태로, 어떤 행동을 실행하는 대상(목적지)를 밝혀줍니다.


- 간접목적은 a+전치목적을 대명사로 굳힌 인칭대명사입니다.


- 직접목적은 한국어의 ‘~을/~를’에 해당되는 형태로, 정확히 어떤 행동을/무엇을 하는 것인지를 명확히 밝혀주게 됩니다다.


- 전치목적은 한국어에 딱히 일률적으로 일치되는 형태가 없습니다. 전치 목적은 전치사의 뒤에 사용되게 되어 뜻을 이루기 때문에 전치사에 따라 그 해석/번역이 매번 달라집니다.


- 재귀 또한 한국어에 딱히 일치되는 형태가 없다. 보통 어떤 행동을 주어 자신에게 실행하게 될 때 사용되며, 재귀형을 사용하면 수동의 의미, 강조, 무인칭 등 다양한 표현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따라서 yo라고 말한다면 ‘내가’라는 뜻이 되고, mi라고 말한다면 ‘나의’라는 뜻이 통하게 됩니다


영어시간에 I, my, me, mine으로 시작되는 인칭대명사 표가 있듯이, 스페인어에도 인칭대명사에는 주격, 소유격, 목적격, 소유대명사 형태가 있고, 추가적으로 후치형 소유격, 재귀형이 있습니다.


스페인어에는 명사의 성과 수에 따라 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의 어미가 바뀌기 때문에 주의해야합니다.


또한 스페인어 소유격에는 후치형태가 있는데요, 소유격 후치는 보통 감탄하는 문장에서 '소유'를 강조하기 위해서 사용됩니다. 


재귀는 동사의 목적어가 주어 본인일때 동사앞에 또는 뒤에(동사원형, 현재분사) 사용됩니다.




Posted by 올라쌤
발랄한 스페인어2014. 3. 30. 10:16

안녕하세요~ 올라쌤과 함께 오늘은 스페인어의 어순에 대해 살펴보도록 해요~



- 스페인어의 어순은 주어+동사를 기본으로 하고, 질문을 하게 될 경우에는 동사+주어의 어순을 갖춥니다.


- 실제로 스페인어에서 주어는 생략이 자주 되기 때문에 말하는 억양으로 질문인지, 감탄인지, 그냥 일반 평서문인지 구분됩니다.


- 한국어의 어순은 주어+목적어+동사(난 감자를 좋아한다)인 반면, 스페인어의 기본 어순은 주어+동사+목적어(yo quiero la papa)의 순 입니다. 


- 하지만 목적어가 처음 살펴봤던 인칭대명사의 직접목적, 간접목적 형태가 된다면 목적어는 동사의 앞에 와야합니다.


- 하지만 목적대명사가 동사원형 형태의 동사에 연결된 경우에는 동사원형 바로 뒤에 붙일 수 있습니다.


- 부정을 나타내는 no는 항상 동사의 앞에 위치합니다.


- 주어가 문장의 제일 앞에 오는 것이 원칙이지만, 주어가 무엇인지만 명확하다면 어디에 와도 크게 문제가 없습니다.



예) (Yo) Quiero tener la computadora <주어 생략, 어순: 주어+동사+목적어>

   La quiero tener(=Quiero tenerla) <주어 생략, 어순: 주어+목적어+동사>

   No la quiero tener(=No quiero tenerla) <주어 생략, 어순: 주어+no+동사>

   No la sabe el abogado!(그 변호사는 그걸 모른다!) <주어 마지막에 위치>

Posted by 올라쌤
발랄한 스페인어2014. 3. 30. 10:14

안녕하세요 올라쌤입니다.

오늘은 강세 (악센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죠~



1. 스페인어에서 자음으로 단어가 끝나는 경우, 끝음절에 강세(acento)가 있습니다.

Madrid 마드리드

vivir 비비르


2. 모음으로 단어가 끝나는 경우, 끝에서 2번째 음절에 강세가 있습니다.

madre 마드레

estudioso 에스뚜디오소(이중모음은 하나의 모음 취급)


3. 자음 -n, -s로 끝나는 경우 2와 같이 끝에서 2번째 음절에 강세가 있습니다.

joven 호벤


4. 위의 규칙 1,2를 벗어나는 곳에 강세가 위치한 경우, 강세가 있는 모음에 강세표시를 의무적으로 해야합니다. 강세표시의 유무에 따라 단어의 뜻이 달라집니다.

papa 감자

papá 아빠


si 만약 ~라면(강세 없이 읽음)

sí 네(yes) (강세 넣어 읽음)


- 두개의 모음이 붙어있지만 약모음(i, u)에 강세가 찍혀있으면, 음절이 분리된다.

tío 띠오



5. 단어가 복수가 되면서 강세 표시를 지워야하는/해줘야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joven -> jóvenes 복수가 된 다음에, 강세법칙에 따라 -ven-의 위치에 강세가 오기 때문에, 원래 단수였을때의 강세를 살리기 위해서 o에 강세를 넣어준다.

corazón -> corazones 복수가 된 다음에도 원래 강세가 표시된 위치에 강세가 3번 법칙에 의해 강세가 오게 되므로 강세표시를 지운다.


6. 전치사, 인칭대명사, 관계대명사, 관사에 특별히 강세표시가 되어 있지 않으면 강세를 넣지 않는다

- 다음 문장을 읽어보도록 합시다.

Jóvenes concienciados con las libertades han encabezado una protesta que persigue un gran cambio.

(호베네스 꼰씨엔시아도스 꼰 라스 리베르따데스 안 엔까베싸도 우나 쁘로떼스따 께 뻬르씨게 운 그란 깜비오)

전치사 con, 관계대명사 que, 부정관사 un에는 강세를 넣지 않습니다^^


El movimiento crecido en la Red pasa por encima de los mensajes electorales

(엘 모비미엔또 끄레씨도 엔 라 렏 빠사 뽀르 엔씨마 데 로스 멘사헤스 엘렉또랄레스)

정관사 el, la, los, 전치사 en, por, de에는 강세를 넣지 않습니다.



Posted by 올라쌤